본문 바로가기

오묘한 과학지식

태양계에대한 오해와 결론

여러분은 태양계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어떤 사람은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는 8개의 행성이 떠오르는 사람도 있고, 화성이나 목성 같은 유명한 행성이 떠오르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런데, 우리가 알고 있는 태양계 상식에 엄청난 오해가 있다면 어떨까요? 사실 우주에 관심이 있는 분들도 태양계에 대해 크게 잘못 알고 있는 것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태양계의 오해에 대한 것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태양계에 대한 오해

1. 질량에 대한오해

태양계에는 중심에 태양을 비롯해 8개의 행성이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수. 금. 지. 화. 목. 토. 천. 해)입니다. 그런데 이 8개의 행성 외에 화성과 목성 사이에 최소 2000개가 넘는 소행성들이 존재하고, 해왕성 너머에도 명왕성을 포함하여 왜소 행성이라고 불리는 행성도 셀 수 없이 많습니다. 또한 카이퍼 벨트를 넘어서 오르트 성운에는 얼마나 많은 소행성이 있을지 파악하기도 힘듭니다. 현재의 기술로는 관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이런 소행성과 행성들은 크기도 제각각입니다. 이게 현 태양계의 상황입니다. 그런데,  누군가가 저에게 태양계에 설명해달라고 이야기한다면 저는 뭐라고 해야 할까요? 아마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는 수많은 천체들의 집합이라고 설명할 것 같습니다. 태양계에는 정말 작은 천체들까지 합치면 수백억 개의 천체가 존재할지 모르는 정말 거대한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그래 봐야 태양계는 한마디로 태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천체들 중 태양의 질량이 99.86%이기 때문이죠. 만약 우리 앞에 금괴가 있다고 했을 때, 그 금괴가 99.9%의 금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우리는 24K라고 부릅니다. 태양계는 이것과 비유하자면 24k태양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거죠. 태양 다음으로 큰 천체는 목성입니다. 그러나 태양계에서의 질량이 0.09%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0.07%가 그 외의 천체입니다. 지구가 차지하는 질량은 태양계 전체의 겨우 0.0004%입니다. 지구는 태양계에 8개밖에 없는 행성이면서 암석 행성 중 가장 큰 행성이 지구임에도 매우 초라한 수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태양계 거리에 대한 오해

정말 큰 차이는 거리에 대한 오해입니다. 간단하게 지구-달의 거리는 약 38만 km입니다. 이는 서울-부산 거리에 760배에 해당하는 양입니다. 예를 들자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차를 타고 갔을 때에 기름값이 왕복 10만 원이라면 달까지는 기름값만 7600만 원이라는 단순 결론이 납니다. 아폴로 11호가 왕복하는 데에는 3일 정도 걸린 거리입니다. 그런데 지구 바로 옆에 있는 화성까지는 어느 정도일까요? 가장 가까울 때는 9000만 km입니다. 달보다는 약 237배가 멉니다. 심지어, 가장 멀리 있을 때에는 2억 4천만 km에 달합니다. 이때는 공전 때문에 생기는 효과이니, 화성이랑 가장 가까울 때를 예시로 들어봅니다. 그때에 무려 180억의 기름값이 듭니다. 그다음으로 가까운 행성인 목성까지는 화성보다 약 8배 이상 차이가 나며 기름값은 1400억의 유류비가 발생합니다.이런 식으로 쭈욱 계산해나가다 보면 해왕성까지는 거의 1조 원에 달하는 기름값이 들어갈 겁니다.

 

 

*태양계에대한 결론

이해하기 쉽게 기름값에 빗대어 거리를 나타내었습니다. 사실 행성 크기를 생각해 보았을 때, 태양계는 거의 100%에 가까운 빈 공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때문에 우주에서 난잡하게 날아다니는 천체들과 충돌하지 않을수있는 겁니다. 너무 넓은 빈공간이 있기 때문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거의 제로이기 때문이죠. 태양계에서 랜덤으로 돌아다니던 천체가 지구와 충돌한다는 것은 마치 축구장만 한 당구 다이에서 랜덤으로 공을 쳐서 3쿠션을 성공하는 것보다 낮은 확률이라고 볼 수 있는 겁니다. 결론은 태양계는 24k의 태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거의 100% 빈 공간이라는 겁니다!